온라인 상담

본문 바로가기
건축분야안내  
주택건축 실내건축 인테리어


온라인 상담

중국 AI 경제 딥시크 Deepseek, 엔비디아 TSMC 주식 폭락 미국 흔들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Terra 작성일25-05-03 16:55 조회1회

본문

최근에 deepseek DeepSeek 때문에 난리입니다. 중국에서 엄청난 인공지능 모델을 만들어냈는데 왜 한국에서는 안되는지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이 있어서 전공자 입장(졸업한지 20년 가까운건 비밀 ㅠㅠ)에서 말씀드릴까 합니다. ​인공지능을 잘 만들기 위해서는1 ) 인력 2 ) 돈 3 ) 데이터 ​3가지가 필요합니다. ​1 ) 인력 일단 인력부터 한번 볼까합니다. ​컴퓨터 공학쪽 얘기니까 정보 경시대회 얘기를 한번 해볼게요. ​정보경시대회에서 중국의 영향력은 그야말로 압도적입니다. 고등학생들이 참가하는 국제정보올림피아드 역대 성적에서 중국이 1위입니다.​중국 학생들은 IOI 나가기만 하면 대부분 금메달을 따옵니다;;​​ICPC(국제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deepseek 성적을 보겠습니다. 2024년 9월에 개최한 세계 대회 성적을 보면, 1위 3위 7위 10위에 중국대학이 있습니다. (물론 자랑스러운 우리나라의 대학교들도 순위권에 2팀이나 있네요.) 제가 예전에 이 대회를 참여했었는데 이 대회 참가할때 가장 웃겼던게MIT나 하버드같은 미국 대학교 애들도 참가하는데막상 그 학교 친구들을 보면 모두 아시아 사람(대부분 중국)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이번엔 학계를 좀 보겠습니다. AI 관련되서 탑티어 연구자가 어떤 국가 소속인지를 트래킹하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이 사이트를 보셔도 아시겠지만가장 훌륭한 연구를 해내는 사람들은 중국인 아니면 미국인입니다. (저기 나와있는 미국인도 deepseek 국적만 미국인이지 실제로는 중국인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중국에는 너무나 똑똑한 사람들이 많습니다.제가 예전에 프로그래밍 대회를 하던 시절에 만났던 중국친구들도 그렇고제가 예전에 미국에 교환학생 가서 만났던 중국 친구들도 정말 똑똑했습니다. ​이번에 DeepSeek 개발팀의 뒷얘기를 들어보면, 유학파들이 만든게 아니라 대학교 졸업한지 1년~2년 밖에 안 된 친구들이 메인이라고 하더군요. 중국 인력풀들이 너무 좋아서 칭화대 북경대 졸업한 친구들이 (유학을 가지 않더라도) 훌륭한 친구들이 많고, 그런 친구들이 달려들면 엄청난 결과가 나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인력들이 미칠듯이 일하고 deepseek 있습니다.자세한건 피터케이님 블로그 참고하세요 ㄷㄷ미국 MIT 박사급들 주는만큼 막 굴리기..ㅎㄷㄷ​2 ) 돈 돈도 무시못합니다. 좋은 인력에 좋은 자금이 투입이 되어야 합니다. DeepSeek 의 창업자 얘기를 안할 수가 없습니다. DeepSeek의 창업자인 량원펑은 중국에서 가장 성공한 퀀트 헤지펀드를 창업한 사람입니다. (중국의 르네상스 테크놀로지라고 하더군요. 실제로 르네상스 테크놀로지 관련된 책의 중국어판 서문을 량원펑이 쓰기도 했습니다.)​무튼 각설하고 중국의 내수시장이 너무 크다보니 중국내에서 사업으로 성공한 사람들은 돈이 어마어마하게 많습니다. 량원펑도 지금 순자산이 (예측치긴 하지만) 5조원 정도 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deepseek 5조원이나 재산이 되는 사람이 '공학적 백그라운드'를 갖고, '인공지능'에 미쳐있습니다. ​그래서 당장 돈을 벌지 않아도 되는 인공지능 연구소를 만들었습니다.그는 다른 회사들이 만든걸 활용한 돈 버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리스크를 감당하며 아무도 가보지 않은 최첨단의 인공지능 모델을 만드려고 하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회사의 주요 결과물은 오픈소스로 해버리는 미친 짓을 저질러 버리는 거죠. ​당장 돈을 벌어야 하는 걱정이 없는데다가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를 풀려고 하고인재들에게 최고의 연봉을 주고(DeepSeek은 중국에서 가장 연봉이 높은 회사 중 하나로 알려져 deepseek 있습니다.)결과물을 오픈소스해서 팀웍과 각자의 명성을 드높이는 문화를 만들어버리니​중국에서 가장 훌륭한 인재들이 모여들었습니다. ​3 ) 데이터 사실 이 부분이 가장 의외인 부분인데 DeepSeek 은 중국의 빅테크 업체(텐센트,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바이두 등)들과 비교했을때 데이터가 가장 부족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원래부터 유저들의 데이터를 모았다기 보다는 주식시장의 가격, 거래량 혹은 alternative data 등만을 수집해왔을거라... ​데이터는 다소 부족했지만 1과 2가 엄청났기에 이것이 가능했다라고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DeepSeek 외에 바이트댄스나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은 그들이 기존에 구축해둔 deepseek 데이터들로 엄청난 성과를 내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당장 이번에 알리바바 에서 출시한 인공지능 모델의 성과도 엄청 좋았죠. 중국의 상황을 설명했으니 다시 한국의 상황으로 돌아가볼까 합니다. ​1은 인구대비로 하면 한국의 컴퓨터 우수한 공학자 비율이 제법 높은 편인데 절대적인 숫자가 부족한 것은 사실입니다.​2는 돈인데돈은 안벌어도 되니까 미친듯이 연구해 그리고 세상에 없는걸 만들어버려!라고 외치는 창업자가 우리나라에 부족하긴 한 것 같습니다. ​스타트업들 입장에서는 생존하느라 정신이 없는것 같고.. 한국의 빅테크 입장에서는 경쟁하랴 돈 버랴 정신이 없는 것 같습니다.(저도 직접적으로 deepseek 아는 회사들이 많은데 한국의 빅테크들도 한국의 스타트업들도 노력은 정말 많이 하고 있습니다.)​3도 한글 데이터는 충분하겠지만 다른 데이터들이 한국이 상대적으로 많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네요. ​1,2,3을 봤을때 만만치 않은 상황이긴 한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저는 대한민국의 인공지능 생태계가 정말 잘됐으면 좋겠고,얼마나 많은 창업자들과 개발자가 노력하는지 알고 있습니다. 그들을 진심으로 응원하고 있습니다. ​저는 자조적인 얘기를 하는 것을 좋아하진 않습니다. '이러니까 대한민국은 안돼'라는 결론보다는'어떻게 하면 대한민국의 인공지능에서도 DeepSeek 같은 스타가 나올 수 있을까?'를 고민해보며 글을 마무리해보고 싶습니다. ​현직자 deepseek 분들의 댓글도 기다립니다.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